이번 강좌에선 카카오톡 봇 기본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.
다소 복잡할 수 있으니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.
우선 플레이스토어에서 메신저봇과 메신저봇R을 설치해 줍시다.


설정에서 알림읽기 권한과 저장공간 권한을 허용해 줍시다.
권한을 안 주시면 봇이 작동을 못 합니다.
다 하셨다면 이제 Wear OS를 설치해 줍니다.

이 앱이 있어야 봇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.
이제 기본적인 것들은 다 되었습니다.
물론 지금 상태 그대로도 봇을 만들 수 있지만, 이대로라면 당신의 본계정이 봇이 되니 봇이 될 계정을 만들어 봅시다.
(뭐 상관없긴 한데 자기가 자기 봇을 테스트하기 불편하다는 점과 자기가 톡방을 보고 있을 시 작동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.)
우선 Textnow를 설치해 줍시다.
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enflick.android.TextNow

텍스트 나우에 회원가입을 하시고 나면 세팅을 할 것인지 물어볼 것인데 그냥 스킵하시면 됩니다.



이후 자신의 지역의 전화번호로 할 것인지 묻는데 이것도 ‘아니요’ 를 선택하시고 스킵하시면 됩니다.

Enter Your Area Code 가 나오는데 여기에는 209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

그러면 5개의 전화번호 선택지들이 나올 텐데 이것들 중 아무거나 선택하시면 됩니다.

선택하시고 Continue를 누르시면 다시 셋업을 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다시 스킵하면 메인 메뉴가 나타납니다.
(제발 그만 물어봐 안할거라고)

오른쪽에 삼선 버튼을 누르면 위에 당신의 전화번호가 있습니다. 눌러서 복사합니다.

이제 부계정을 만들 전화번호를 얻었습니다.
이제 이 번호로 부계정을 만들어 보겠습니다.
설정에 들어가서 유용한 기능>듀얼 메신저 로 들어가 줍니다.

카카오톡을 켜 주시면 됩니다.
폰에 2번째 카카오톡이 설치될 겁니다.
2번째 카카오톡으로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해 봅시다.

새로운 카카오계정 만들기를 눌러줍니다.
약관들을 동의하고 전화번호를 다음과 같이 입력해 줍시다.

확인을 누르면 TextNow앱으로 인증번호가 갈 겁니다.

인증번호를 입력해 줍시다.

이메일을 등록하라고 하는데 나중에 하기를 눌러줍니다.

계정의 프로필과 이름을 설정해 준 뒤 확인을 눌러줍니다.

만약 성공했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.

보시듯이 사용자보호조치가 걸려 있습니다.
이것을 풀어야만 오픈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.
그러니 이를 풀어보도록 합시다.
이를 풀려면 봇에게 정상적인 계정이 많이 친추되어 있어야 하고, 그 계정들에게서 메시지를 받아야 합니다.
우선 본계로 돌아가셔서 봇 계정을 전화번호로 친구추가 해줍시다.
(이메일을 등록해놨다면 이메일이 더 편하다.)
친추한 뒤에는 봇에게 아무 메시지나 보내준 뒤, 봇의 계정을 주변 친구들이나 봇 사용자보호조치를 풀어주는 오픈채팅방에 가서 봇 계정을 공유하도록 합시다.
연락처를 누른 뒤 카카오톡 프로필 공유를 누르면 됩니다.

많은 사람들이 친추되고, 선톡을 많이 받으면 1시간~5일 내에 조치가 풀립니다.
(가끔 한달 넘게 걸리기도 합니다.)
(5분컷한 인간도 있긴 해요)
조치가 풀렸다면 모든 준비는 끝났습니다.
이제 다음 강좌부터 본격적으로 봇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'메봇 강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3.반복문 (0) | 2020.03.29 |
---|---|
3.2.제어문 (0) | 2020.03.28 |
3.1.변수선언, 연산자 (4) | 2020.03.26 |
2.1. 핑퐁 봇 만들어보기 (10) | 2020.03.26 |
1. 카카오톡 봇에 대하여 (0) | 2020.03.26 |